주택청약통장 다들 가지고 계시나요? 저는 고등학교 때부터 매달 10만 원씩 꼬박꼬박 납입을 하고있는데요. 지금 당장 아파트를 살 건 아니지만 나중에 결혼하면 내 집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꾸준히 넣고 있어요. 하지만 막상 돈을 넣으면서도 주택 청약의 개념에 대해서도 자세히 모르는거 같아서 최근에서야 조금씩 공부를 하고있답니다.
오늘은 부족하지만 제가 알아본 내용을 토대로 함께 주택 청약에 대해 알아봅시다.
주택 청약 개념
주택 청약 즉, 주택 청약 종합 저축의 개념 대해서 쉽고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개념을 알려면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정말 중요한데요 우선 주택 청약 저축이란 우리나라에서 "새 아파트"를 분양 받기 위해 가입하는 저축입니다. 여기서 요점은 우리나라는 새 아파트를 살 돈이 있어도 1순위로 구매를 할 수가 없습니다. 나라에서 정한 여러 조건들을 점수로 합산하여 가장 조건이 좋은 사람에게 새 아파트를 살 기회를 준답니다.
물론 주택 청약을 가입하지 안더라도 새 아파트를 사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확률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쉽게 얘기하면 주택 청약이란 우리가 새 아파트를 분양 받기위한 자격증, 번호표 같은거라 생각하시면 되고
조건에는 무주택 기간, 주택 청약 가입기간, 납입 횟수 등이 있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따 자세히 다뤄 봅시다~
주택 청약 1순위 조건, 국민주택 민영주택 차이
주택 청약 종합 저축을 드시면 많이들 하시는 이야기가 얼마씩 내야 할까요? 인데 저는 현재 10만원 씩 내고 있고 주변 분들에게도 10만원 씩 매달 꾸준하게 내라고 합니다. 개인사정상 어려우면 적어도 2만원 씩은 꼭 내라고 하는데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희가 분양을 받는 주택의 종류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민영 주택과 국민 주택입니다. 국민주택인지 민영주택인지에 따라 1순위 자격 조건과 당첨자 선정 기준이 살짝 다른데요 오늘은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그리고 지금은 주택 청약 종합 저축(국민주택 + 민영주택)이 통장하나로 다 통합되어 있어서 얼른 가입하셔서 오~랜기간 상황에 맞게 꾸준히 납입 하시면 시간이 지나면 1순위 조건이 되실 수 있으니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실 것 없습니다~
국민주택: 쉽게 말해 나라에서 하는거랍니다. 국가,지자체,LH등 에서 건설하는 주택입니다.
정부나 지자체에서 주도하다보니 "'저렴한 공급"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청약에 당첨되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할건 쉽게 말해서 오~~랜 기간 꾸~~준하게 많이 납입하는게 장땡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 국민주택 청약 조건 -
만 19세 이상에 세대 전원이 무주택자이어야 함! / 최초 입주자 모집 공고일 현재 해당 주택 건설 지역 또는 인근지역 거주하는 자 / 기타 소득 등의 요건 등은 정부 지침에 따라 바뀔수 있기에 상황에 맞게 알아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 수도권 : 가입 후 최소 1년 경과, 최소 납입 횟수 12회
- 비수도권 : 가입 후 최소 6개월 경과 최소 납입 횟수 6회
*** 투기 과열 지구나 청약 과열 지구의 경우에는 주택 청약 저축 가입 후 2년 경과, 납입 횟수 24회 이상 ***
민영주택: 민간 걸설사가 주도해서 만든 브랜드 아파트들 우리가 흔히 아는 화성, 레미안 등등, 아무래도 민간업체에서 하는거다 보니 국가에서 하는 국민 주택보다 가격대가 비쌈
국민주택의 경우 나라에서 진행하는 거기 때문에 아무래도 소득등의 조건이 충족이 되어야 분양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조건이 까다로운 편입니다. 그러다보니 연봉이 조금 쎄신 분들은 민영 주택을 노리셔야 할텐데요 민간 분양의 경우 본인이 원하는 아파트 평수에 따라서 예치금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 민영주택 청약 조건 -
만 19세 이상 / 최초 입주자 모집 공고일 현재 해당 주택 건설 지역 또는 인근지역 거주하는 자 / 무주택자 or 1주택자
-> 민영주택의 경우 청약 통장 가입기간은 동일하지만 국민주택과 다르게 납입 횟수를 보지는 않습니다.
여기서 지역별 청약 예치금이 있는데요 쳥약 통장 가입기간을 충족하면서 아래 사진 처럼 지역과 면적에 따라 해당 되는 금액이 청약통장에 예치되어 있다면 조건이 충족되는 거랍니다.
댓글